Results 81 to 90 of about 5,907 (232)

Clinical implications of nuchal translucency

open access: yes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0
태아 목덜미 투명대는 임신 제1삼분기 말 초음파에서 태아의 목 뒤 연조직의 경계와 표면을 덮는 피부조직 경계 사이에 체액이 차 있는 무에코성 피하 공간이다. 이 시기의 태아 목덜미 투명대 증가 (95 백분위수 이상)는 다운 증후군 등의 홀배수체 이상 및 다양한 태아의 구조적 기형과 깊은 관련이 있다. 태아 목덜미 투명대 증가는 임산부 혈청 PAPP-A 및 free β-hCG와 함께 복합선별검사를 하면 다운 증후군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목덜미 투명대 증가를 포함한 복합선별검사는 임신 제2삼분기 선별검사에 비해 더 이른 임신 주수에 더 정확한 선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openaire   +2 more sources

Detection of aneuploidy with fetal nuchal translucency and maternal serum markers in Japanese women [PDF]

open access: bronze, 2000
Yukihito Fukada   +5 more
openalex   +1 more source

Intra‐ and interoperator repeatability of the nuchal translucency measurement [PDF]

open access: bronze, 2000
Eva Pajkrt   +5 more
openalex   +1 more source

Nuchal Translucency Measurement Did Not Significantly Predict Trisomy Cases in Tertiary Referral Center

open access: yesGynecology Obstetrics & Reproductive Medicine, 2012
OBJECTIVE: We sought to determine the value of well defined screening method in predicting trisomy cases in our institution. STUDY DESIGN: Totally 300 amniocentesis cases were screened from prospectively collected database.
Tülay Tos   +6 more
doaj  

Prenatal whole-exome sequencing in fetuses with increased nuchal translucency. [PDF]

open access: yesMol Genet Genomic Med, 2023
Cao C   +5 more
europepmc   +1 more source

Home - About - Disclaimer - Priv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