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의원의 입법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제17대~19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소관 의원 발의 법안을 중심으로

Analyzing on the causes of legislative behavior of legislators: Focusing on the Bills Sponsored in the 17th~19th National Assembly Strategy and Finance Committee

사회과학연구
약어 : -
2015 vol.23, no.1, pp.144 - 170
DOI : 10.17787/jsgiss.2015.23.1.144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연구분야 : 정치외교학
Copyright ©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308 회 열람

본 논문의 목적은 의원의 법안 발의건수와 법안 가결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있다. 특히, 제17대부터 19대 국회 전반기까지 기획재정위원회를 중심으로 기존의 개인적 요인과 제도적 요인 이외에 법안 발의 연결망 요인을 포함하여 법안 가결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대표발의 법안 건수에 있어서는 정치후원 모금액이 많고 상임위원, 야당의원일수록 법안 발의수가 높은 반면, 선수가 높고 극단적 이념 성향을 가진 의원일수록 법안 발의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법안 가결률에 있어서는 비례대표와 인접 중앙성, 위세 중앙성이 높은 의원일수록 법안 가결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원이 법안을 많이 대표발의 한다고 해서 그것이 법안 가결률, 즉 의원의 입법 영향력으로 이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법안을 정책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법안 발의를 많이 하는 것보다는 동료의원들과의 친분 관계를 통한 신속한 정보 획득과 얼마나 많은 영향력을 가진 동료의원들과 함께 법안을 발의하는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s of bill sponsoring and the bill approval rating. I examinethe effects of the individual factors, institutions, and social networks on bill sponsoring in the Strategy andFinance Committee during the 17th–19th National Assembly. The results reveal that the legislators thatreceive greater amount of political funds, are members of the Strategy and Finance Committee and areaffiliated with the opposition party tend to sponsor more bills. On the other hand, senior members andideological extremists tend to sponsor less bills. In addition, bills sponsored by legislators elected fromparty-list and legislators who have high closeness centrality and prestige centrality scores are more likelyto be passed on the floor. The results imply that sponsoring of bills is not related to bill approval rating. Therefore, the number of bills a legislator sponsors is irrelevant to legislative success on the floor. Instead,it is more important that the legislators quickly obtain the information of the bills by utilizing closerelationship and cosponsor the bill with the influential members in order to pass bills on the floor.

대표발의 법안 건수, 법안 가결률, 법안 발의 연결망, 인접 중앙성, 위세 중앙성
the number of the bill sponsor, bill approval rating, the social networks of bill sponsor, closeness centrality, prestige centrality

  • 1. [단행본] 국회사무처 / 2008 / 헌법 · 국회관계법 / 국회사무처
  • 2. [단행본] 국회사무처 / 2012 / 제17대 국회사 / 국회사무처
  • 3. [단행본] 국회사무처 / 2014 / 제18대 국회사 / 국회사무처
  • 4. [인터넷자료] / 국회 의안정보시스템
  • 5. [단행본] 곽기영 / 2014 / 소셜 네트워크 분석 / 청람
  • 6. [단행본] 김용학 / 2007 / 사회 연결망 이론 / 박영사
  • 7. [단행본] 김용학 / 2013 / 사회 연결망 분석 / 박영사
  • 8. [학술지] 김장수 / 2006 / 의원발의의 미시적 동인 분석: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국제정치논총 / 46 (4) : 203 ~ 4 kci
  • 9. [학술지] 문우진 / 2010 / 국회의원 개인배경과 입법: 입법 메커니즘과 16대와 17대 국회의 입법생산성 / 의정연구 / 16 (1) : 35 ~ 1 kci
  • 10. [학술지] 박경미 / 2009 / 17대 국회의원의 법안 발의와 처리 결과: 국회의원의 상임위원회 선호도와 교섭단체 소속여부를 중심으로 / 의정연구 / 15 (2) : 159 ~ 2 kci
  • 11. [학술지] 박윤희 / 2013 / 의원발의 법안의 상임위원회 통과 결정요인 분석 / 의정논총 / 8 (2) : 29 ~ 2 kci
  • 12. [인터넷자료]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자료실 / 2004년, 2008년, 2012년 국회의원 및 일반국민 이념조사 데이터
  • 13. [학술지] 서현진 / 2009 / 17대 국회 의원발의 법안의 가결 요인 분석 / 한국정치학회보 / 43 (2) : 89 ~ 2 kci
  • 14. [단행본] 손동원 / 2013 / 사회 네트워크 분석 / 경문사
  • 15. [학술지] 염유식 / 2007 / 16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법안 가결에 관한 연결망 분석 -의원들의 중개자 역할이 법안 가결여부에 미치는 영향- / 법과사회 (32) : 159 ~ 32 kci
  • 16. [학술대회] 이병규 / 2009 / 중개자 역할의 유지 매커니즘: 17대 국회 법안발의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 1085 ~
  • 17. [학술지] 이병규 / 2012 / 중개 위치 점유의 증가와 감소에 관한 연구: 제 17대 대한민국 국회의 대표 발의 연결망을 바탕으로 / 한국사회학 / 46 (4) : 137 ~ 4 kci
  • 18. [단행본] 이수상 / 2012 /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 논형
  • 19. [학술지] 이현우 / 2011 / 국회 상임위원회의 법안 공동발의 연결망 분석: 18대 문방위 발의안을 중심으로 / 방송통신연구 (74) : 99 ~ 74 kci
  • 20. [학술지] 전진영 / 2006 / 조세정책 관련법안에 대한 국회의원의 투표형태 분석 / 의정연구 / 12 (1) : 131 ~ 1 kci
  • 21. [학술지] 전진영 / 2014 / 국회 원내지도부의 입법영향력 분석: 상임위원회 지도부를 중심으로 / 한국정당학회보 / 13 (2) : 193 ~ 2 kci
  • 22. [학술지] 전진영 / 2014 / 국회의원의 대표유형에 따른 정책적 관심과 영향력의 차이분석: 제18대 국회 의원발의안을 중심으로 / 한국정치연구 / 23 (2) : 211 ~ 2 kci
  • 23. [인터넷자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보공개시스템 / 2004-2013년 국회의원 후원금 모금액
  • 24. [학술지] 최준영 / 2006 / 의원발의의 동인에 대한 경험적 분석: 사건계수 분석기법(Event Count Analysis)을 중심으로 / 21세기정치학회보 / 16 (2) : 309 ~ 2 kci
  • 25. [학술지] Ashworth, Scott / 2006 / Delivering the Goods: Legislative Particularism in Different Electoral and Institutional Settings / Journal of Politics / 68 (1) : 168 ~ 1
  • 26. [학술지] Bernhard, William / 2013 / Commitment and Consequence: Reneging on Cosponsorship Pledges in the U.S. House /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 38 (4) : 461 ~ 4
  • 27. [학술지] Caldeira, Clark / 1993 / Political Respect in the Legislature /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 18 (1) : 3 ~ 1
  • 28. [학술지] Campbell, James E. / 1982 / Cosponsoring Legislation in the U.S. Congress /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 7 (3) : 415 ~ 3
  • 29. [학술지] Fowler, James H. / 2006 / Connecting the Congress: A Study of Cosponsorship Networks / Political Analysis / 14 : 456 ~
  • 30. [학술지] Fowler, James H / 2006 / Legislative cosponsorship networks in the US House and Senate / Social Networks / 28 : 454 ~
  • 31. [학술지] Frantzich, Stephen / 1979 / Who Makes Our Laws? The Legislative Effectiveness of Members of the U. S. Congress /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 4 (3) : 409 ~ 3
  • 32. [학술지] Heaney, Michael T. / 2009 / Social Networks and American Politics: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 American Politics Research / 37 (5) : 727 ~ 5
  • 33. [학술지] Katzmann, Robert A / 1989 / The American Legislative Process as a Signal / Journal of Public Policy / 9 (3) : 287 ~ 3
  • 34. [학술지] Keefer, Philip / 2009 / When do legislators pass on pork? The role of political parties in determining legislator effort /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 103 (1) : 99 ~ 1
  • 35. [학술지] Kessler, Daniel / 1996 / Dynamics of Cosponsorship /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 90 (3) : 555 ~ 3
  • 36. [학술지] Kitschelt, Herbert / 2002 / Programmatic Party Cohesion in Emerging Postcommunist Democracies: Russia in Comparative Context /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 35 (10) : 1228 ~ 10
  • 37. [단행본] Krehbiel, Keith / 1992 / Information and legislative organization /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38. [학술지] Lancaster, Thomas D. / 1986 / Electoral Structures and Pork Barrel Politics /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Review / 7 (1) : 66 ~ 1
  • 39. [학술지] Lazer, David / 2011 / Networks in Political Science: Back to the Future / Political Science & Politics / 44 (1) : 61 ~ 1
  • 40. [단행본] Mayhew, David R. / 1974 / Congress: The Electoral Connection / Yale University Press
  • 41. [학술지] Micozzi, Juan Pablo / 2013 / Alliance for Progress? Multilevel Ambition and Patterns of Cosponsorship in the Argentine House /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 20 (5) : 1 ~ 5
  • 42. [학술지] Park, Bae Gyoon / 2003 / Territorialized party politics and the politics of local ecomomic development: State-led industrialization and political regionalism in South Korea / Political Geography / 22 : 811 ~
  • 43. [학술지] Park, Chan Wook / 1988 / Constituency Representation in Korea: Sources and Consequences /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 13 (2) : 225 ~ 2
  • 44. [학술지] Porter, Mason A. / 2007 / Community structure in the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 Physica A / 386 : 414 ~
  • 45. [학술지] Rocca, Michael S. / 2010 / The Position-taking Value of Bill Sponsorship in Congress /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 63 (2) : 387 ~ 2
  • 46. [학술지] Rocca, Michael S. / 2007 / The Effect of Race and Ethnicity on Bill Sponsorship and Cosponsorship in Congress / American Politics Research / 20 (10) : 1 ~ 10
  • 47. [학술지] Swers, Michele L / 2005 / Connecting Descriptive and Substantive Representation: An Analysis of Sex Differences in Cosponsorship Activity /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 30 (3) : 407 ~ 3
  • 48. [학술지] Tam Cho, Wendy K. / 2010 / Legislative Success in a Small Worl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he Dynamics of Congressional Legislation / The Journal of Politics / 72 (1) : 124 ~ 1
  • 49. [학술지] Wagner, Marcus / 2012 / When do parties emphasise extreme positions? How strategic incentives for policy differentiation influence issue importance /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 51 (1) : 64 ~ 1
  • 50. [학술지] Wilson, Rick K. / 1997 / Cosponsorship in the U. S. Congress / Legislative Studies Quarterly / 22 (1) : 25 ~ 1